[S86] 아래다리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84] 아래다리 부위의 신경손상
[S85] 아래다리 부위의 혈관의 손상
[S89] 아래다리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S81] 아래다리의 열린상처
[S88] 아래다리의 외상성 절단
[S87] 아래다리의 으깸손상
[S80] 아래다리의 표재성 손상
[S56] 아래팔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54] 아래팔 부위의 신경의 손상
[S55] 아래팔 부위의 혈관의 손상
[S52] 아래팔의 골절
[S59] 아래팔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S51] 아래팔의 열린상처
[S58] 아래팔의 외상성 절단
[S57] 아래팔의 으깸손상
[S50] 아래팔의 표재성 손상
[A96] 아레나바이러스출혈열
[A06] 아메바증
[E72] 아미노산대사의 기타 장애
[E85] 아밀로이드증
[E54] 아스코르빈산결핍
[B44] 아스페르길루스증
[L20] 아토피성 피부염
[F11] 아편유사제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 장애
[L75] 아포크린땀샘장애
[B56] 아프리카파동편모충증
[T64] 아플라톡신 및 기타 진균독소 식품오염물질의 독성효과
[C88] 악성 면역증식성 질환
[Z09] 악성 신생물 이외의 병태에 대한 치료후 추적검사
[Z08] 악성 신생물에 대한 치료후 추적검사
[B21] 악성 신생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Z80] 악성 신생물의 가족력
[Z85]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
[W58] 악어에 물림 또는 부딪힘
[H44] 안구의 장애
[L64] 안드로젠탈모증
[G51] 안면신경장애
[H05] 안와의 장애
[H55] 안진 및 기타 불규칙적 눈운동
[O33]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불균형에 대한 산모관리
[O35]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태아 이상 및 손상에 대한 산모관리
[G30] 알츠하이머병
[F00]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G30.-+)
[F05] 알콜 및 기타 정신활성물질에 의하여 유발된 것이 아닌 섬망
[F04] 알콜 및 기타 정신활성물질에 의해 유발된 것이 아닌 기질성 기억상실증후군
[F10] 알콜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 장애
[K70] 알콜성 간질환
[X45] 알콜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65] 알콜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T51] 알콜의 독성효과
[W37] 압축 타이어, 파이프 또는 호스의 폭발 및 파열
[L23] 앨러지성 접촉피부염
[A21] 야생토끼병
[N14] 약물 및 중금속 유발 세뇨관-간질 및 세뇨관 병태
[Z88]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대한 앨러지의 개인력
[X85]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가해
[T96]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중독의 후유증
[F31] 양극성 정동장애
[O42] 양막의 조기파열
[U53] 양명병증(陽明病證)
[N60] 양성 유방형성이상
[D17] 양성 지방종성 신생물
[O41] 양수 및 양막의 기타 장애
[O40] 양수과다증
[H51] 양안운동의 기타 장애
[Z62] 양육에 관련된 기타 문제
[S46] 어깨 및 위팔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44] 어깨 및 위팔 부위의 신경의 손상
[S45] 어깨 및 위팔 부위의 혈관의 손상
[S42] 어깨 및 위팔의 골절
[S49] 어깨 및 위팔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S41] 어깨 및 위팔의 열린상처
[S48] 어깨 및 위팔의 외상성 절단
[S47] 어깨 및 위팔의 으깸손상
[S40] 어깨 및 위팔의 표재성 손상
[M75] 어깨병변
[R42] 어지럼증 및 어지럼
[Q18] 얼굴 및 목의 기타 선천기형
[W00] 얼음 또는 눈에 의한 동일 면상에서의 낙상
[Y96] 업무와 관련된 상태
[S76] 엉덩이 및 대퇴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74] 엉덩이 및 대퇴 부위의 신경의 손상
[S75] 엉덩이 및 대퇴 부위의 혈관의 손상
[S79] 엉덩이 및 대퇴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S71] 엉덩이 및 대퇴의 열린상처
[S78] 엉덩이 및 대퇴의 외상성 절단
[S77] 엉덩이 및 대퇴의 으깸손상
[S70] 엉덩이 및 대퇴의 표재성 손상
[Q91] 에드워즈증후군 및 파타우증후군
[L74] 에크린땀샘장애
[L70] 여드름
[T29]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하는 화상 및 부식
[T02]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골절
[T35]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동상 및 상세불명의 동상
[T01]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열린상처
[T05]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외상성 절단
[T04]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으깸손상
[T03]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탈구, 염좌 및 긴장
[T00]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표재성 손상
[F19] 여러 약물 사용 및 기타 정신활성물질의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 장애
[N97] 여성불임
[N82] 여성생식관을 침범한 누공
[N84] 여성생식관의 폴립
[R87] 여성생식기관 검사물의 이상소견
[N94] 여성생식기관 및 월경주기와 관련된 통증 및 기타 병태
[D39] 여성생식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Q52] 여성생식기의 기타 선천기형
[N81] 여성생식기탈출
[X51] 여행 및 이동
[M94] 연골의 기타 장애
[X97] 연기, 불 및 불꽃에 의한 가해
[X76] 연기, 불 및 불꽃에 의한 의도적 자해
[M08] 연소성 관절염
[A40] 연쇄구균패혈증
[L03] 연조직염
[T67] 열 및 빛의 영향
[B50] 열대열원충말라리아
[B70] 열두조충증 및 고충증
[V25] 열차 또는 철도차량과 충돌로 다친 모터사이클 탑승자
[V05] 열차 또는 철도차량과 충돌로 다친 보행자
[V35] 열차 또는 철도차량과 충돌로 다친 삼륜자동차 탑승자
[V15] 열차 또는 철도차량과 충돌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65] 열차 또는 철도차량과의 충돌로 다친 대형화물차 탑승자
[V75] 열차 또는 철도차량과의 충돌로 다친 버스 탑승자
[V45] 열차 또는 철도차량과의 충돌로 다친 승용차 탑승자
[V55] 열차 또는 철도차량과의 충돌로 다친 픽업트럭 또는 밴 탑승자
[G61] 염증성 다발신경병증
[D52] 엽산결핍빈혈
[R95] 영아돌연사증후군
[E41] 영양성 소모증
[E64] 영양실조 및 기타 영양결핍의 후유증
[E12] 영양실조-관련 당뇨병
[X99] 예리한 물체에 의한 가해
[X78] 예리한 물체에 의한 의도적 자해
[Z40] 예방적 수술을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Y64] 오염된 의료제제 또는 생물학적 물질
[B86] 옴
[Y04] 완력에 의한 가해
[Y05] 완력에 의한 성적 학대
[Y65]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 기타 재난
[Y62]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 무균예방의 실패
[Y69]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 상세불명의 재난
[Y60]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 생긴 비의도적 절단, 천자, 천공 또는 출혈
[Y63]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 용량 착오
[Y61]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에 체내에 불의로 남겨진 이물
[Y66]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의 불이행
[Z44] 외부 인공삽입장치의 부착 및 조정을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T15] 외안의 이물
[R46] 외양 및 행동에 관련된 증상 및 징후
[N90] 외음부 및 회음부의 기타 비염증성 장애
[C51] 외음의 악성 신생물
[H60] 외이염
[H61] 외이의 기타 장애
[Y88] 외인으로서의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의 후유증
[T98] 외인의 기타 및 상세불명 영향의 후유증
[Q84] 외피의 기타 선천기형
[C66] 요관의 악성 신생물
[R36] 요도분비물
[N34] 요도염 및 요도증후군
[N36] 요도의 기타 장애
[Q54] 요도하열
[N35] 요도협착
[A66] 요스
[E01] 요오드결핍과 관련된 갑상선장애 및 동류의 병태
[R82] 요의 기타 이상소견
[S32] 요추 및 골반의 골절
[S33] 요추 및 골반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B80] 요충증
[L89] 욕창궤양 및 압박부위
[E86] 용적고갈
[P56] 용혈질환으로 인한 태아수종
[Z33] 우연히 확인된 임신상태
[F32] 우울에피소드
[F90] 운동과다장애
[F82] 운동기능의 특정 발달장애
[W09] 운동장비가 관여된 낙상
[V80] 운수사고에서 다친 동물 또는 동물-견인차량 탑승자
[V81] 운수사고에서 다친 열차 또는 철도차량 탑승자
[V82] 운수사고에서 다친 전차 탑승자
[V84] 운수사고에서 다친 주로 농업에 사용되는 특수차량의 탑승자
[V86] 운수사고에서 다친 주로 비도로 주행을 위해 설계된 특수 전지형차량 또는 기타 자동차 탑승자
[V83] 운수사고에서 다친 주로 산업구내에서 사용되는 특수차량 탑승자
[V85] 운수사고에서 다친 특수건설용 차량 탑승자
[Y85] 운수사고의 후유증
[X81] 움직이는 물체 앞에 뛰어들거나 누움에 의한 의도적 자해
[B04] 원숭이두창
[R96] 원인 미상의 기타 돌연사
[N27] 원인불명의 작은 신장
[L63] 원형 탈모증
[W78] 위 내용물의 흡입
[K31] 위 및 십이지장의 기타 질환
[K21] 위-식도역류병
[K28] 위공장궤양
[K25] 위궤양
[U73] 위병증(胃病證)
[K29] 위염 및 십이지장염
[C16] 위의 악성 신생물
[Z57] 위험요인에 직업적 노출
[J67] 유기물먼지에 의한 과민성 폐렴
[X46] 유기용제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그 휘발물질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66] 유기용제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그 휘발물질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T52] 유기용제의 독성효과
[F24] 유도망상장애
[O61] 유도분만의 실패
[H70] 유돌염 및 관련 병태
[H43] 유리체의 장애
[N64] 유방의 기타 장애
[N62] 유방의 비대
[N63] 유방의 상세불명의 덩이
[Q83] 유방의 선천기형
[C50] 유방의 악성 신생물
[D24] 유방의 양성 신생물
[N61] 유방의 염증성 장애
[D05] 유방의 제자리암종
[R92] 유방의 진단영상검사상 이상소견
[L41] 유사건선
[A26] 유사단독
[L12] 유사천포창
[O08] 유산, 자궁외임신 및 기태임신에 따른 합병증
[G60] 유전성 및 특발성 신경병증
[G11] 유전성 운동실조
[D66] 유전성 제8인자결핍
[D67] 유전성 제9인자결핍
[Y82] 유해사건과 관련된 기타 및 상세불명의 의료장치
[Y70] 유해사건과 관련된 마취장치
[Y80] 유해사건과 관련된 물리치료장치
[Y78] 유해사건과 관련된 방사선과적 장치
[Y76] 유해사건과 관련된 산과 및 부인과적 장치
[Y73] 유해사건과 관련된 소화기과 및 비뇨기과장치
[Y75] 유해사건과 관련된 신경과적 장치
[Y71] 유해사건과 관련된 심혈관장치
[Y77] 유해사건과 관련된 안과적 장치
[Y72] 유해사건과 관련된 이비인후과적 장치
[Y81] 유해사건과 관련된 일반 및 성형외과적 장치
[Y74] 유해사건과 관련된 일반병원 및 개인용 장치
[Y79] 유해사건과 관련된 정형외과적 장치
[X87] 유해생물방제제(농약)에 의한 가해
[X48] 유해생물방제제(농약)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68] 유해생물방제제(농약)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T60] 유해생물방제제(농약)의 독성효과
[U50] 육음병증(六淫病證)
[M67] 윤활막 및 힘줄의 기타 장애
[M66] 윤활막 및 힘줄의 자연파열
[M65] 윤활막염 및 힘줄윤활막염
[N48] 음경의 기타 장애
[C60] 음경의 악성 신생물
[N43] 음낭수종 및 정액류
[R49] 음성장애
[R63] 음식 및 수액 섭취에 관계된 증상 및 징후
[Y22] 의도 미확인의 권총발사
[Y17] 의도 미확인의 기타 가스 및 휘발성 물질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33] 의도 미확인의 기타 명시된 사건
[Y14] 의도 미확인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24] 의도 미확인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화기발사
[Y19] 의도 미확인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화학물질 및 유독성 물질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30] 의도 미확인의 높은 곳에서 떨어짐, 뛰어내림 또는 떠밀림
[Y12] 의도 미확인의 달리 분류되지 않은 마약 및 환각제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11] 의도 미확인의 달리 분류되지 않은 항뇌전증제, 진정제-수면제, 항파킨슨제 및 정신작용제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29] 의도 미확인의 둔한 물체에 접촉
[Y23] 의도 미확인의 라이플, 엽총 및 기타 큰 화기발사
[Y20] 의도 미확인의 목맴, 교액 및 질식
[Y10] 의도 미확인의 비아편유사진통제, 해열제, 항류마티스제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34] 의도 미확인의 상세불명의 사건
[Y15] 의도 미확인의 알콜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26] 의도 미확인의 연기, 불 및 불꽃에 노출
[Y28] 의도 미확인의 예리한 물체에 접촉
[Y31] 의도 미확인의 움직이는 물체 앞에 또는 안으로 뛰어내림, 누움 또는 떨어짐
[Y16] 의도 미확인의 유기용제 및 할로젠화 탄화수소 및 그 휘발물질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18] 의도 미확인의 유해생물방제제(농약)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21] 의도 미확인의 익사 및 익수
[Y32] 의도 미확인의 자동차의 충돌
[Y13] 의도 미확인의 자율신경계통에 작용하는 기타 약물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27] 의도 미확인의 증기, 뜨거운 김 및 뜨거운 물체에 접촉
[Y25] 의도 미확인의 폭발성 물질에 접촉
[Y87] 의도적 자해, 가해 및 의도 미확인 사건의 후유증
[Z75] 의료시설 및 기타 보건관리에 관련된 문제
[Z03] 의심되는 질병 및 병태를 위한 의학적 관찰 및 평가
[W07] 의자가 관여된 낙상
[O04] 의학적 유산
[Z92] 의학적 치료의 개인력
[B85] 이감염증 및 사면발이증
[T50] 이뇨제 및 기타 상세불명의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중독
[V22] 이륜 또는 삼륜자동차와 충돌로 다친 모터사이클 탑승자
[V72] 이륜 또는 삼륜자동차와 충돌로 다친 버스 탑승자
[V02] 이륜 또는 삼륜자동차와 충돌로 다친 보행자
[V32] 이륜 또는 삼륜자동차와 충돌로 다친 삼륜자동차 탑승자
[V12] 이륜 또는 삼륜자동차와 충돌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62] 이륜 또는 삼륜자동차와의 충돌로 다친 대형화물차 탑승자
[V42] 이륜 또는 삼륜자동차와의 충돌로 다친 승용차 탑승자
[V52] 이륜 또는 삼륜자동차와의 충돌로 다친 픽업트럭 또는 밴 탑승자
[Q05] 이분척추
[C12] 이상동(梨狀洞)의 악성 신생물
[R25] 이상불수의운동
[R74] 이상혈청효소수치
[Z94] 이식된 기관 및 조직의 상태
[T86] 이식된 기관 및 조직의 실패 및 거부
[Z45] 이식장치의 조정 및 관리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W88]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
[I15] 이차성 고혈압
[G21] 이차성 파킨슨증
[W16] 익사 및 익수 이외 손상의 원인인 물로 다이빙 또는 뛰어듬
[X92] 익사 및 익수에 의한 가해
[X71] 익사 및 익수에 의한 의도적 자해
[V90] 익사 및 익수의 원인이 된 선박사고
[V93] 익사 및 익수의 원인이 아닌 선박사고가 없는 선상사고
[W89] 인공 가시광선 및 자외선에 노출
[Z93] 인공개구상태
[Z43] 인공개구에 대한 관리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N98] 인공수정과 관련된 합병증
[W92] 인공적 과잉열에 노출
[W93] 인공적 과잉한랭에 노출
[R41] 인지기능 및 자각에 관련된 기타 증상 및 징후
[R75]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의 검사실 증거
[J14]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폐렴
[G45] 일과성 뇌허혈발작 및 관련 증후군
[P71] 일과성 신생아 칼슘 및 마그네슘 대사장애
[X32] 일광에 노출
[L55] 일광화상
[R44] 일반적 감각 및 지각에 관련된 기타 증상 및 징후
[T58] 일산화탄소의 독성효과
[T44] 일차적으로 자율신경계통에 작용하는 약물에 의한 중독
[A54] 임균감염
[O94] 임신, 출산 및 산후기 합병증의 후유증
[O10] 임신,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전에 있던 고혈압
[Z32] 임신검사
[O13] 임신성[임신-유발]고혈압
[P01] 임신의 산모합병증에 의해 영향을 받은 태아 및 신생아
[O21] 임신중 과다구토
[O24] 임신중 당뇨병
[O29] 임신중 마취의 합병증
[O23] 임신중 비뇨생식관의 감염
[O25] 임신중 영양실조
[O22] 임신중 정맥합병증 및 치핵
[D10] 입 및 인두의 양성 신생물
[C04] 입바닥의 악성 신생물
[K13] 입술 및 구강점막의 기타 질환
[C14] 입술, 구강 및 인두내의 기타 및 부위불명의 악성 신생물
[C00] 입술의 악성 신생물
[C06] 입의 기타 및 상세불명 부분의 악성 신생물
[C10] 입인두의 악성 신생물
[K06] 잇몸 및 무치성 치조융기의 기타 장애
[C03] 잇몸의 악성 신생물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