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01] Varicella[chickenpox] - 수두
[I83] Varicose veins of lower extremities - 하지의 정맥류
[I86] Varicose veins of other sites - 기타 부위의 정맥류
[F01] Vascular dementia is the result of infarction of the brain due to vascular disease, including hypertensive cerebrovascular disease. The infarcts are usually small but cumulative in their effect. Onset is usually in later life.
- 혈관성 치매
[K55] Vascular disorders of intestine - 장의 혈관장애
[G46] Vascular syndromes of brain in cerebro- vascular diseases(I60-I67†)
- 뇌혈관질환에서의 뇌의 혈관증후군(I60-I67†)
[L95] Vasculitis limited to skin,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피부에 한정된 혈관염
[J30] Vasomotor and allergic rhinitis -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O22] Venous complications and haemorrhoids in pregnancy
- 임신중 정맥합병증 및 치핵
[O87] Venous complications and haemorrhoids in the puerperium
- 산후기중 정맥합병증 및 치핵
[K43] Ventral hernia - 복벽탈장
[H82] Vertiginous syndrome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현기증후군
[X36] Victim of avalanche, landslide and other earth movements
- 눈사태, 산사태 및 기타 지각운동에 의한 피해
[X37] Victim of cataclysmic storm - 지각변동 폭풍의 피해
[X34] Victim of earthquake - 지진에 의한 피해
[X38] Victim of flood of cataclysmic nature arising from melting snow
- 홍수의 피해
[X33] Victim of lightning - 벼락에 의한 피해
[X35] Victim of volcanic eruption - 화산폭발에 의한 피해
[B97] Viral agents as the cause of diseases classified to other chapters
-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바이러스감염체
[A08] Viral and other specified intestinal infections - 바이러스성 및 기타 명시된 장감염
[B30] Viral conjunctivitis - 바이러스결막염
[B34] Viral infection of unspecified site - 상세불명 부위의 바이러스감염
[A87] Viral meningitis - 바이러스수막염
[J12] Viral pneumonia,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바이러스폐렴
[B07] Viral warts - 바이러스사마귀
[H53] Visual disturbances - 시각장애
[H54] Visual impairment including blindness (binocular or monocular)
- 실명을 포함한 시력장애(양안의 또는 단안의)
[E50] Vitamin A deficiency - 비타민A결핍
[D51] Vitamin B12 deficiency anaemia - 비타민B12결핍빈혈
[E55] Vitamin D deficiency - 비타민D결핍
[L80] Vitiligo - 백반증
[R49] Voice disturbances - 음성장애
[E86] Volume depletion - 용적고갈
[N77] Vulvovaginal ulceration and inflammation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외음질의 궤양 및 염증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