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분류기호

이전 검색
[F43.2]
적응장애
  • 대분류 [F40-F48] 신경증성, 스트레스-연관 및 신체형 장애(F40-F48)
  • 대분류 [F43] 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적응장애
용어 및 속성
[신체부위] 정신
[표제어] 적응장애
[용어] 일상변화나 일상사건에 적응하는 시기 에 일어나는 주관적인 근심과 정서 장애 상태로써 사회적 기능, 임무 수행 에 지장을 준다. 스트레스 요인은 개인 의 사회적 조직망(사별, 이별의 경험) 이나 더 큰 사회 지지 및 가치체계 (이주, 망명자 신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입학, 기원했던 목표의 실패, 은퇴, 부모가 되는 것 등의 주요 분기점이나 위기일 수 있다. 개개인의 성향과 취향에 따라 적응장애의 발현 모습과 위험도가 달라지며 스트레스 요인 없이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증상은 다양하나 우울한 기분, 불안, 걱정(또는 혼합형), 일상생활의 수행불능, 현재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상실, 미래를 계획할 수 있는 능력상실로 대표될 수 있다. 성인에 있어 행위장애가 연관될 수 있다. 우세한 표현 양상은 짧은, 또는 지속적 우울반응이며 정서나 행위 장애이다.
[표제어] Adjustment disorders
[표제어] States of subjective distress and emotional disturbance, usually interfering with social functioning and performance, arising in the period of adaptation to a significant life change or a stressful life event. The stressor may have affected the integrity of an individual´s social network (bereavement, separation experiences) or the wider system of social supports and values (migration, refugee status), or represented a major developmental transition or crisis (going to school, becoming a parent, failure to attain a cherished personal goal, retirement). Individual predisposition or vulnerabi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isk of occurrence and the shaping of the manifestations of adjustment disorders, but it is nevertheless assumed that the condition would not have arisen without the stressor. The manifestations vary and include depressed mood, anxiety or worry (or mixture of these), a feeling of inability to cope, plan ahead, or continue in the present situation, as well as some degree of disability in 9the performance of daily routine. Conduct disorders may be an associated feature, particularly in adolescents. The predominant feature may be a brief or prolonged depressive reaction, or a disturbance of other emotions and con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