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00-F99] Ⅴ. 정신 및 행동 장애(F00-F99)
- [F40-F48] 신경증성, 스트레스-연관 및 신체형 장애(F40-F48)
- [F43] 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적응장애
- 용어 및 속성
- [신체부위] 정신
- [표제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용어] 모든이에게 왜곡된 걱정거리를 제공하기 쉬운 예외적으로 위협적이거나 재난적인 자연의 상태(단기 또는 장기) 또는 근심에 늦게 반응하여 나타나는 장애. 과거의 신경성 질환이나 인격적 특성(충박성, 쇠약성)이 증상의 발전 이나 경과의 악화 역치를 낮출 수 있지만, 질병의 발생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전형적 양상은 방해적 기억 속에서 꿈과 악몽에서 외상의 반복적 재체험(과거의 재현)이며 외상을 기억 나게 하는 활동 및 상황을 피하려는 지속적인 배경에 대하여 발생하는 “무감각”이나 무딘 감성, 타인과의 분리, 주위환경에 대한 무관심, 쾌감 결여, 보통 자율신경의 과도각성, 과도 경계 상태에 있으며 깜짝깜짝 놀라고 불면증에 시달린다. 불안과 우울병도 잘 연관되나 자살관념은 흔하지 않다. 증상의 시작은 외상후 수 주 및 수 개월의 잠복기를 가지며 과정은 유동적이나 다수가 회복된다. 환자의 일부는 수년간의 만성적 경과를 밟으며 인격변조(F62.0)의 과도기를 거친다.
- [표제어]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표제어] Arises as a delayed or protracted response to a stressful event or situation (of either brief or long duration) of an exceptionally threatening or catastrophic nature, which is likely to cause pervasive distress in almost anyone. Predisposing factors, such as personality traits (e.g. compulsive, asthenic) or previous history of neurotic illness, may lower the threshol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yndrome or aggravate its course, but they are neither necessary nor sufficient to explain its occurrence. Typical features include episodes of repeated reliving of the trauma in intrusive memories ("flashbacks"), dreams or nightmares, occurring against the persisting background of a sense of "numbness" and emotional blunting, detachment from other people, unresponsiveness to surroundings, anhedonia, and avoidance of activities and situations reminiscent of the trauma. There is usually a state of autonomic hyperarousal with hypervigilance, an enhanced startle reaction, and insomnia. Anxiety and depression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above symptoms and signs, and suicidal ideation is not infrequent. The onset follows the trauma with a latency period that may range from a few weeks to months. The course is fluctuating but recovery can be expected in the majority of cases. In a small proportion of cases the condition may follow a chronic course over many years, with eventual transition to an enduring personality change (F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