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88] Paget’s disease of bone [osteitis deformans] - 뼈의 파젯병[변형성 골염]
[N94] Pain and other conditions associated with female genital organs and menstrual cycle
- 여성생식기관 및 월경주기와 관련된 통증 및 기타 병태
[R30] Pain associated with micturition - 배뇨와 연관된 통증
[R07] Pain in throat and chest - 목구멍 및 가슴의 통증
[R52] Pain,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통증
[L45] Papulosquamous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구진비늘장애
[B41] Paracoccidioidomycosis - 파라콕시디오이데스진균증
[K56] Paralytic ileus and intestinal obstruction without hernia
- 탈장이 없는 마비성 장폐색증 및 장폐색
[H49] Paralytic strabismus - 마비성 사시
[G82] Paraplegia and tetraplegia - 하반신마비 및 사지마비
[L41] Parapsoriasis - 유사건선
[G22] Parkinsonism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파킨슨증
[G20] Parkinson’s disease - 파킨슨병
[I47] Paroxysmal tachycardia - 발작성 빈맥
[V13] Pedal cyclist injured in collision with car,pick-up truck or van
- 승용차, 픽업트럭 또는 밴과 충돌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17] Pedal cyclist injured in collision with fixed or stationary object
- 고정 또는 정지된 물체와의 충돌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14] Pedal cyclist injured in collision with heavy transport vehicle or bus
- 대형화물차 또는 버스와 충돌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16] Pedal cyclist injured in collision with other nonmotor vehicle
- 기타 무동력차량과 충돌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11] Pedal cyclist injured in collision with other pedal cycle
- 다른 자전거와 충돌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10] Pedal cyclist injured in collision with pedestrian or animal
- 보행자 또는 동물과 충돌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15] Pedal cyclist injured in collision with railway train or railway vehicle
- 열차 또는 철도차량과 충돌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12] Pedal cyclist injured in collision with two-or three-wheeled motor vehicle
- 이륜 또는 삼륜자동차와 충돌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18] Pedal cyclist injured in noncollision transport accident
- 비충돌 운수사고에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19] Pedal cyclist injured in other and unspecified transport accident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운수사고에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03] Pedestrian injured in collision with car, pick-up truck or van
- 승용차, 픽업트럭 또는 밴과 충돌로 다친 보행자
[V04] Pedestrian injured in collision with heavy transport vehicle or bus
- 대형화물차 또는 버스와 충돌로 다친 보행자
[V06] Pedestrian injured in collision with other nonmotor vehicle
- 기타 무동력 차량과 충돌로 다친 보행자
[V01] Pedestrian injured in collision with pedal cycle - 자전거와 충돌로 다친 보행자
[V05] Pedestrian injured in collision with railway train or railway vehicle
- 열차 또는 철도차량과 충돌로 다친 보행자
[V02] Pedestrian injured in collision with two- or three-wheeled motor vehicle
- 이륜 또는 삼륜자동차와 충돌로 다친 보행자
[V09] Pedestrian injured in other and unspecified tansport accident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운수사고에서 다친 보행자
[B85] Pediculosis and phthiriasis - 이감염증 및 사면발이증
[L12] Pemphigoid - 유사천포창
[L10] Pemphigus - 천포창
[K27] Peptic ulcer, site unspecified - 상세불명 부위의 소화성 궤양
[H72] Perforation of tympanic membrane - 고막의 천공
[I32] Pericarditi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심장막염
[O70] Perineal laceration during delivery - 분만중 회음열상
[K65] Peritonitis due to talc or other foreign substance(T81.6)
- 복막염
[J36] Peritonsillar abscess - 편도주위농양
[F22] Persistent delusional disorders - 지속성 망상장애
[F34] Persistent mood [affective] disorders - 지속성 기분[정동]장애
[Z88] Personal history of allergy to drugs, medicaments and biological substances
-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대한 앨러지의 개인력
[Z86] Personal history of certain other diseases - 특정 기타 질환의 개인력
[Z85] Personal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 - 악성 신생물의 개인력
[Z92] Personal history of medical treatment - 의학적 치료의 개인력
[Z87] Personal history of other diseases and conditions
- 기타 질환 및 병태의 개인력
[Z91] Personal history of risk-factor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위험 요인의 개인력
[F07] Personality and behavioural disorders due to brain disease, damage and dysfunction
- 뇌질환, 뇌손상 및 기능이상에 의한 인격 및 행동장애
[Z45]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adjustment and management of implanted device
- 이식장치의 조정 및 관리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43]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artificial openings
- 인공개구에 대한 관리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49]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care involving dialysis
- 투석을 포함한 치료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50]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care involving use of rehabilitation procedures
- 재활처치를 포함한 치료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44]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fitting and adjustment of external prosthetic device
- 외부 인공삽입장치의 부착 및 조정을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46]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fitting and adjustment of other devices
- 기타 장치의 부착 및 조정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42]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follow-up care involving plastic surgery
- 성형수술을 포함한 추적치료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71]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other counselling and medical advice,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상담 및 의학적 권고를 위해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51]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other medical carether medical care
- 기타 의학적 관리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47]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other orthopaedic follow-up care
- 기타 정형외과적 추적치료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48]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other surgical follow-up care
- 기타 외과적 추적치료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41]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procedures for purposes other than remedying health state
- 건강상태개선 이외의 목적으로 이루어진 처치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40]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prophylactic surgery
- 예방적 수술을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53]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for specific procedures, not carried out
- 수행되지 않은 특정 처치를 위해 보건서비스에 접하고 있는 사람
[Z76] Persons encountering health services in other circumstances
- 기타 상황에서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F84]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전반발달장애
[Q85] Phakomatose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모반증
[I80] Phlebitis and thrombophlebitis - 정맥염 및 혈전정맥염
[F40] Phobic anxiety disorders - 공포성 불안장애
[Y80] Physical medicine devices associated with adverse incidents
- 유해사건과 관련된 물리치료장치
[L05] Pilonidal cyst - 모소낭
[A67] Pinta[carate] - 핀타
[L42] Pityriasis rosea - 장미색잔비늘증(비강진)
[O44] Placenta praevia - 전치태반
[O43] Placental disorders - 태반장애
[A20] Plague - 페스트
[B50] Plasmodium falciparum malaria - 열대열원충말라리아
[B52] Plasmodium malariae malaria - 사일열원충말라리아
[B51] Plasmodium vivax malaria - 삼일열원충말라리아
[J91] Pleural effusion in condition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병태에서의 흉막삼출액
[J90] Pleural effusion,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흉막삼출액
[J92] Pleural plaque - 흉막판
[J65] Pneumoconiosis associated with tuberculosis - 결핵과 연관된 진폐증
[J61] Pneumoconiosis due to asbestos and other mineral fibres
- 석면 및 기타 광섬유에 의한 진폐증
[J62] Pneumoconiosis due to dust containing silica - 실리카를 함유한 먼지에 의한 진폐증
[J63] Pneumoconiosis due to other inorganic dusts - 기타 무기물먼지에 의한 진폐증
[B59] Pneumocystosis(J17.3*) - 폐포자충증(J17.3*)
[J14] Pneumonia due to Haemophilus influenzae -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폐렴
[J16] Pneumonia due to other infectious organism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감염성 병원체에 의한 폐렴
[J13] Pneumonia due to Streptococcus pneumoniae - 폐렴연쇄구균에 의한 폐렴
[J17] Pneumonia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폐렴
[J18] Pneumonia, organism unspecified -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J69] Pneumonitis due to solids and liquids - 고체 및 액체에 의한 폐렴
[J93] Pneumothorax tuberculous(current disease)(A15-A16)
- 기흉
[T48] Poisoning by agents primarily acting on smooth and skeletal muscles and the respiratory system
- 주로 평활근, 골격근 및 호흡계통에 작용하는 제제에 의한 중독
[T46] Poisoning by agents primarily affec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 주로 심혈관계통에 영향을 주는 제제에 의한 중독
[T47] Poisoning by agents primarily affecting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주로 위장계통에 영향을 주는 제제에 의한 중독
[T41] Poisoning by anaesthetics and therapeutic gases - 마취제 및 각종 치료용가스에 의한 중독
[Y15]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alcohol,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알콜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11]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antiepileptic, sedative-hypnotic, antiparkinsonism and psychotropic drugs, undetermined intent, NEC
- 의도 미확인의 달리 분류되지 않은 항뇌전증제, 진정제-수면제, 항파킨슨제 및 정신작용제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12]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narcotics and psychodysleptics [hallucinogens], undetermined intent, NEC
- 의도 미확인의 달리 분류되지 않은 마약 및 환각제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10]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nonopioid analgesics, antipyretics and antirheumatics,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비아편유사진통제, 해열제, 항류마티스제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16]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and halogenated hydrocarbons and their vapours,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유기용제 및 할로젠화 탄화수소 및 그 휘발물질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19]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and unspecified chemicals and noxious substances,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화학물질 및 유독성 물질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14]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and unspecified drugs, medicaments and biological substances,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13]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drugs acting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자율신경계통에 작용하는 기타 약물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17]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gases and vapours,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기타 가스 및 휘발성 물질에 의한 중독 및 노출
[Y18]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pesticides,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유해생물방제제(농약)에 의한 중독 및 노출
[T42] Poisoning by antiepileptic, sedative-hypnotic and antiparkinsonism drugs
- 항뇌전증제, 진정제-수면제 및 항파킨슨제에 의한 중독
[T50] Poisoning by diuretics and other and unspecified drugs, medicaments and biological substances
- 이뇨제 및 기타 상세불명의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중독
[T44] Poisoning by drugs primarily affecting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 일차적으로 자율신경계통에 작용하는 약물에 의한 중독
[T38] Poisoning by hormones and their synthetic substitutes and antagonist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호르몬, 합성호르몬대치물 및 길항제에 의한 중독
[T40] Poisoning by narcotics and psychodysleptics [hallucinogens]
- 마약 및 정신이상약[환각제]에 의한 중독
[T39] Poisoning by nonopioid analgesics, antipyretics and antirheumatics
- 비아편유사진통제, 해열제 및 항류마티스제에 의한 중독
[T37] Poisoning by other systemic anti-infectives and antiparasitics
- 기타 전신 항감염제 및 항기생충제에 의한 중독
[T45] Poisoning by primarily systemic and haematological agent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주로 전신 및 혈액에 작용하는 제제에 의한 중독
[T43] Poisoning by psychotropic drug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정신작용제에 의한 중독
[T36] Poisoning by systemic antibiotics - 전신항생제에 의한 중독
[T49] Poisoning by topical agents primarily affecting skin and mucous membrane and by ophthalmological, otorhinolaryngological and dental drugs
- 주로 피부 및 점막에 영향을 주는 국소제제와 안과, 이비인후과 및 치과 약물에 의한 중독
[M30] Polyarteritis nodosa and related conditions - 결절성 다발동맥염 및 관련 병태
[M15] Polyarthrosis - 다발관절증
[D45] Polycythaemia vera has been reclassified in ICD-O Third Edition with a malignant code. The code D45 will continue to be used, although it is located in the chapter for Neoplasms of uncertain or unknown behaviour. The modification of its classification is reserved to the revision of ICD.
- 진성 적혈구증가증
[Q69] Polydactyly - 다지증
[E31] Polyglandular dysfunction - 다선성 기능이상
[O40] Polyhydramnios - 양수과다증
[G63] Polyneuropathy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다발신경병증
[N84] Polyp of female genital tract - 여성생식관의 폴립
[R35] Polyuria - 다뇨
[I81] Portal vein thrombosis - 문맥혈전증
[M03] Postinfective and reactive arthropathie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감염후 및 반응성 관절병증
[Z39] Postpartum care and examination - 분만후 관리 및 검사
[O72] Postpartum haemorrhage - 분만후 출혈
[G14] Postpolio syndrome - 소아마비후증후군
[I97] Postprocedural disorders of circulatory system,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순환계통의 처치후 장애
[K91] Postprocedural disorders of digestive system,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소화계통의 처치후 장애
[H95] Postprocedural disorders of ear and mastoid proces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귀 및 유돌의 처치후 장애
[H59] Postprocedural disorders of eye and adnexa,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눈 및 눈부속기의 처치후 장애
[N99] Postprocedural disorders of genitourinary system,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비뇨생식계통의 처치후 장애
[G97] Postprocedural disorders of nervous system,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신경계통의 처치후 장애
[E89] Postprocedural endocrine and metabolic disorder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후 내분비 및 대사 장애
[M96] Postprocedural musculoskeletal disorder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후 근골격장애
[J95] Postprocedural respiratory disorder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후 호흡장애
[O14] Pre-eclampsia - 전자간
[O11] Pre-eclampsia superimposed on chronic hypertension
- 만성 고혈압에 겹친 전자간
[O10] Pre-existing hypertension complicat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uerperium
- 임신,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전에 있던 고혈압
[Z32] Pregnancy examination and test - 임신검사
[Z33] Pregnant state, incidental - 우연히 확인된 임신상태
[O42]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 양막의 조기파열
[O45] Premature separation of placenta [abruptio placentae]
- 태반의 조기분리[태반조기박리]
[Z95] Presence of cardiac and vascular implants and grafts
- 심장 및 혈관 삽입물 및 이식편의 존재
[Z97] Presence of other devices - 기타 장치의 존재
[Z96] Presence of other functional implants - 기타 기능성 삽입물의 존재
[O60] Preterm labour and delivery - 조기진통 및 분만
[Y43] Primarily systemic agents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주로 전신에 작용하는 제제
[G71] Primary disorders of muscles - 근육의 원발성 장애
[Z74] Problems related to care-provider dependency - 간호제공자 의존성에 관련된 문제
[Z64] Problems related to certain psychosocial circumstances
- 특정 정신사회적 상황에 관련된 문제
[Z55] Problems related to education and literacy - 교육 및 문해에 관련된 문제
[Z56] Problems related to employment and unemployment - 취업 및 실업에 관련된 문제
[Z59] Problems related to housing and economic circumstances
- 주택 및 경제적 상황에 관련된 문제
[Z73] Problems related to life-management difficulty - 생활-관리의 어려움에 관련된 문제
[Z72] Problems related to lifestyle - 생활양식에 관련된 문제
[Z75] Problems related to medical facilities and other health care
- 의료시설 및 기타 보건관리에 관련된 문제
[Z61] Problems related to negative life events in childhood
- 소아기의 부정적 일상사건에 관련된 문제
[Z65] Problems related to other psychosocial circumstances
- 기타 정신사회적 상황에 관련된 문제
[Z58] Problem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 - 물리적 환경에 관련된 문제
[Z60] Problems related to social environment - 사회적 환경에 관련된 문제
[Z31] Procreative management - 출산관리
[F73] Profound mental retardation - 최중증 정신지체
[O48] Prolonged pregnancy - 지연임신
[X52] Prolonged stay in weightless environment - 무중력환경에서의 장기간 체류
[E44] Protein-energy malnutrition of moderate and mild degree
- 중등도 및 경도의 단백질-에너지영양실조
[L29] Pruritus - 가려움
[L40] Psoriasis - 건선
[M07] Psoriatic and enteropathic arthropathies - 건선성 및 장병성 관절병증
[F66] Psychological and behavioural disorders associated with sexual development and orientation
- 성적 발달과 지향에 관계된 심리적 장애 및 행동장애
[F54] Psychological and behavioural factors associated with disorders or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장애나 질환에 연관된 심리적 요인 및 행동적 요인
[Y49] Psychotropic drugs, NEC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달리 분류되지 않은 정신작용제
[O85] Puerperal sepsis - 산후기 패혈증
[I26] Pulmonary embolism - 폐색전증
[J82] Pulmonary eosinophilia,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폐호산구증가
[P26] Pulmonary haemorrhage originating in the perinatal period
-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폐출혈
[J81] Pulmonary oedema with mention of heart disease NOS or heart failure(I50.1)
- 폐부종
[I37] Pulmonary valve disorders - 폐동맥판장애
[D69] Purpura and other haemorrhagic conditions - 자반 및 기타 출혈성 병태
[L88] Pyoderma gangrenosum - 괴저성 농피증
[M00] Pyogenic arthritis - 화농성 관절염
[J86] Pyothorax - 농흉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