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63] Habit and impulse disorders - 습관 및 충동 장애
[N96] Habitual aborter - 습관적 유산자
[D18] Haemangioma and lymphangioma, any site - 모든 부위의 혈관종 및 림프관종
[P55] Haemolytic disease of fetus and newborn - 태아 및 신생아의 용혈질환
[R04] Haemorrhage from respiratory passages - 기도출혈
[O20] Haemorrhage in early pregnancy - 초기임신중 출혈
[R58] Haemorrhage,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출혈
[P53] Haemorrhagic disease of fetus and newborn - 태아 및 신생아의 출혈성 질환
[K64] Haemorrhoids and perianal venous thrombosis - 치핵 및 항문주위정맥혈전증
[L67] Hair colour and hair shaft abnormalities - 모발색 및 모발줄기 이상
[W32] Handgun discharge - 권총 발사
[Y22] Handgun discharge,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권총발사
[Y20] Hanging, strangulation and suffocation,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목맴, 교액 및 질식
[R51] Headache - 두통
[U66] Heart deficiency pattern - 심허증(心虛證)
[U67] Heart excess pattern - 심실증(心實證)
[I50] Heart failure - 심부전
[R12] Heartburn - 속쓰림
[G81] Hemiplegia - 편마비
[K72] Hepatic failure,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간부전
[R16] Hepatomegaly and splenomegaly,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간비대 및 비장비대
[G60] Hereditary and idiopathic neuropathy - 유전성 및 특발성 신경병증
[G11] Hereditary ataxia - 유전성 운동실조
[D66] Hereditary factor Ⅷ deficiency - 유전성 제8인자결핍
[D67] Hereditary factor Ⅸ deficiency - 유전성 제9인자결핍
[N07] Hereditary nephropathy,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유전성 신장병증
[B00] Herpesviral [herpes simplex] infections - 헤르페스바이러스[단순헤르페스] 감염
[B39] Histoplasmosis - 히스토플라스마증
[W50] Hit, struck, kicked, twisted, bitten or scratched by another person
- 타인에 의해 맞음, 부딪힘, 차임, 비틀림, 물림 또는 찰과
[C81] Hodgkin lymphoma - 호지킨림프종
[B76] Hookworm diseases - 구충병
[H00] Hordeolum and chalazion - 맥립종 및 콩다래끼
[Y42] Hormones and their synthetic substitutes and antagonists, NEC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달리 분류되지 않은 호르몬 및 그들의 합성 대치물 및
[B20]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disease resulting in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s
-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B21]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disease resulting in malignant neoplasms
- 악성 신생물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B2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disease resulting in other conditions
- 기타병태를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B22]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disease resulting in other specified diseases
- 기타 명시된 질환을 유발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G10] Huntington’s disease - 헌팅톤병
[O01] Hydatidiform mole - 포상기태
[N43] Hydrocele and spermatocele - 음낭수종 및 정액류
[G91] Hydrocephalus due to congenital toxoplasmosis (P37.1)(P37.1)
- 수두증
[P56] Hydrops fetalis due to haemolytic disease - 용혈질환으로 인한 태아수종
[E26] Hyperaldosteronism - 고알도스테론증
[E22] Hyperfunction of pituitary gland - 뇌하수체의 기능항진
[R61] Hyperhidrosis - 다한증
[F90] Hyperkinetic disorders - 운동과다장애
[E21] Hyperparathyroidism and other disorders of parathyroid gland
- 부갑상선기능항진증 및 부갑상선의 기타 장애
[N40] Hyperplasia of prostate - 전립선증식증
[J67]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due to organic dust - 유기물먼지에 의한 과민성 폐렴
[I13] Hypertensive heart and renal disease - 고혈압성 심장 및 신장병
[I11] Hypertensive heart disease - 고혈압성 심장병
[I12] Hypertensive renal disease - 고혈압성 신장병
[L68] Hypertrichosis - 털과다증
[L91] Hypertrophic disorders of skin - 피부의 비대성 장애
[N62] Hypertrophy of breast - 유방의 비대
[E23] Hypofunction and other disorders of pituitary gland
- 뇌하수체의 기능저하 및 기타 장애
[E20] Hypoparathyroidism - 부갑상선기능저하증
[Q54] Hypospadias - 요도하열
[I95] Hypotension - 저혈압
[T68] Hypothermia (of) not associated with low environmental temperature(R68.0)
- 저체온증
[P80] Hypothermia of newborn - 신생아의 저체온증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