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51] Facial nerve disorders - 안면신경장애
[R15] Faecal incontinence - 대변실금
[O07] Failed attempted abortion - 시도된 유산의 실패
[O61] Failed induction of labour - 유도분만의 실패
[T86] Failure and rejection of transplanted organs and tissues
- 이식된 기관 및 조직의 실패 및 거부
[Y63] Failure in dosage during surgical and medical care
-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 용량 착오
[Y62] Failure of sterile precautions during surgical and medical care
-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 무균예방의 실패
[W15] Fall from cliff - 절벽에서의 낙상
[W14] Fall from tree - 나무에서의 낙상
[W13] Fall from, out of or through building or structure
- 빌딩 또는 구조물에서의 낙상
[W06] Fall involving bed - 침대가 관여된 낙상
[W07] Fall involving chair - 의자가 관여된 낙상
[W02] Fall involving ice-skates, skis, roller-skates or skateboards
- 스케이트, 스키, 롤러-스케이트 또는 스케이트보드에 의한 낙상
[W08] Fall involving other furniture - 기타 가구가 관여된 낙상
[W09] Fall involving playground equipment - 운동장비가 관여된 낙상
[W05] Fall involving wheelchair - 휠체어가 관여된 낙상
[W11] Fall on and from ladder - 사다리에서의 낙상
[W12] Fall on and from scaffolding - 비계발판에서의 낙상
[W10] Fall on and from stairs and steps - 계단에서의 낙상
[W01] Fall on same level from slipping, tripping and stumbling
- 미끄러짐, 걸림 및 헛디딤에 의한 동일 면상에서의 낙상
[W00] Fall on same level involving ice and snow - 얼음 또는 눈에 의한 동일 면상에서의 낙상
[W04] Fall while being carried or supported by other persons
- 타인에 의한 운반이나 지지를 받는 동안의 낙상
[Y30] Falling, jumping or pushed from a high place,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높은 곳에서 떨어짐, 뛰어내림 또는 떠밀림
[Y31] Falling, lying or running before or into moving object,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움직이는 물체 앞에 또는 안으로 뛰어내림, 누움 또는 떨어짐
[O47] False labour - 가진통
[Z82] Family history of certain disabilities and chronic diseases leading to disablement
- 특정 무능력 및 불구의 원인이 되는 만성 질환의 가족력
[Z80] Family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 - 악성 신생물의 가족력
[Z81] Family history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 정신 및 행동 장애의 가족력
[Z84] Family history of other conditions - 기타 병태의 가족력
[Z83] Family history of other specific disorders - 기타 특정 장애의 가족력
[P92] Feeding problems of newborn - 신생아의 수유문제
[N81] Female genital prolapse - 여성생식기탈출
[N97] Female infertility - 여성불임
[N74] Female pelvic inflammatory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여성골반염증장애
[K41] Femoral hernia - 대퇴탈장
[P50] Fetal blood loss - 태아실혈
[P95] Fetal death of unspecified cause - 상세불명 원인의 태아사망
[P02] Fetus and newborn affected by complications of placenta, cord and membranes
- 태반, 탯줄 및 태아막의 합병증에 의해 영향을 받은 태아 및 신생아
[P01] Fetus and newborn affected by maternal complications of pregnancy
- 임신의 산모합병증에 의해 영향을 받은 태아 및 신생아
[P00] Fetus and newborn affected by maternal conditions that may be unrelated to present pregnancy
- 현재 임신과는 관계 없을 것 같은 산모병태에 의해 영향받은 태아 및 신생아
[P04] Fetus and newborn affected by noxious influences transmitted via placenta or breast milk
- 태반 또는 모유를 통해 전달된 해로운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은 태아 및 신생아
[P03] Fetus and newborn affected by other complications of labour and delivery
- 진통 및 분만의 기타 합병증에 의해 영향을 받은 태아 및 신생아
[R50] Fever of other and unknown origin - 기타 및 원인미상의 열
[M72] Fibroblastic disorders - 섬유모세포장애
[K74] Fibrosis and cirrhosis of liver - 간의 섬유증 및 경변증
[B74] Filariasis - 사상충증
[R78] Findings of drugs and other substances, not normally found in blood
- 정상적으로는 혈액내에 없는 약물 및 기타 물질의 소견
[K60] Fissure and fistula of anal and rectal regions - 항문 및 직장부의 열창 및 누공
[N82] Fistulae involving female genital tract - 여성생식관을 침범한 누공
[R14] Flatulence and related conditions - 고창 및 연관된 병태
[D52] Folate deficiency anaemia - 엽산결핍빈혈
[L72] Follicular cysts of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 피부 및 피하조직의 모낭낭
[C82] Follicular lymphoma with or without diffuse areas
- 소포성 림프종
[Z09] Follow-up examination after treatment for conditions other than malignant neoplasms
- 악성 신생물 이외의 병태에 대한 치료후 추적검사
[Z08] Follow-up examination after treatment for malignant neoplasms
- 악성 신생물에 대한 치료후 추적검사
[W44] Foreign body entering into or through eye or natural orifice
- 눈 또는 인체의 개구부를 통하여 들어온 이물
[T18] Foreign body in alimentary tract - 소화관속의 이물
[T16] Foreign body in ear - 귀의 이물
[T19] Foreign body in genitourinary tract - 비뇨생식관의 이물
[T17] Foreign body in respiratory tract - 기도의 이물
[T15] Foreign body on external eye - 외안의 이물
[W45] Foreign body or object entering through skin - 피부를 통하여 들어온 이물 또는 물체
[Y61] Foreign object accidentally left in body during surgical and medical care
-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에 체내에 불의로 남겨진 이물
[S62] Fracture at wrist and hand level - 손목 및 손부위의 골절
[S72] Fracture of femur - 대퇴골의 골절
[S92] Fracture of foot, except ankle - 발목을 제외한 발의 골절
[S52] Fracture of forearm - 아래팔의 골절
[S82] Fracture of lower leg, including ankle - 발목을 포함한 아래다리의 골절
[T12] Fracture of lower limb, level unspecified - 다리의 상세불명 부위의 골절
[S32] Fracture of lumbar spine and pelvis - 요추 및 골반의 골절
[S12] Fracture of neck - 목의 골절
[S22] Fracture of rib(s), sternum and thoracic spine - 늑골, 흉골 및 흉추의 골절
[S42] Fracture of shoulder and upper arm - 어깨 및 위팔의 골절
[S02] Fracture of skull and facial bones - 두개골 및 안면골의 골절
[T08] Fracture of spine, level unspecified - 척추의 상세불명 부위의 골절
[T10] Fracture of upper limb, level unspecified - 팔의 상세불명 부위의 골절
[T02] Fractures involving multiple body regions -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골절
[T35] Frostbite involving multiple body regions and unspecified frostbite
-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동상 및 상세불명의 동상
[T34] Frostbite with tissue necrosis involving multiple body regions(T35.1)
- 조직괴사를 동반한 동상
[D71] Functional disorders of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 다형핵호중구의 기능장애
[K30] Functional dyspepsia - 기능성 소화불량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