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49] Bacterial infection of unspecified site - 상세불명 부위의 세균감염
[G00] Bacterial meningiti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수막염
[J15] Bacterial pneumonia,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폐렴
[P36] Bacterial sepsis of newborn - 신생아의 세균패혈증
[Y58] Bacterial vaccines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세균백신
[Q95] Balanced rearrangements and structural marker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균형된 재배열 및 구조표지자
[A44] Bartonellosis - 바르토넬라병
[D17] Benign lipomatous neoplasm - 양성 지방종성 신생물
[N60] Benign mammary dysplasia - 양성 유방형성이상
[D16] Benign neoplasm of bone and articular cartilage - 골 및 관절연골의 양성 신생물
[D33] Benign neoplasm of brain and other parts of central nervous system
- 뇌 및 중추신경계통의 기타 부분의 양성 신생물
[D24] Benign neoplasm of breast - 유방의 양성 신생물
[D12] Benign neoplasm of colon, rectum, anus and anal canal
- 결장, 직장, 항문 및 항문관의 양성 신생물
[D31] Benign neoplasm of eye and adnexa - 눈 및 부속기의 양성 신생물
[D11] Benign neoplasm of major salivary glands - 주침샘의 양성 신생물
[D29] Benign neoplasm of male genital organs - 남성생식기관의 양성 신생물
[D32] Benign neoplasm of meninges - 수막의 양성 신생물
[D19] Benign neoplasm of mesothelial tissue - 중피조직의 양성 신생물
[D14] Benign neoplasm of middle ear and respiratory system
- 중이 및 호흡계통의 양성 신생물
[D10] Benign neoplasm of mouth and pharynx - 입 및 인두의 양성 신생물
[D13] Benign neoplasm of other and ill-defined parts of digestive system
- 기타 및 부위불명의 소화계통의 양성 신생물
[D35] Benign neoplasm of other and unspecified endocrine gland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내분비선의 양성 신생물
[D28] Benign neoplasm of other and unspecified female genital organ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여성생식기관의 양성 신생물
[D15] Benign neoplasm of other and unspecified intrathoracic organ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흉곽내기관의 양성 신생물
[D36] Benign neoplasm of other and unspecified sites - 기타 및 상세불명 부위의 양성 신생물
[D27] Benign neoplasm of ovary - 난소의 양성 신생물
[D20] Benign neoplasm of soft tissue of retroperitoneum and peritoneum
- 후복막 및 복막 연조직의 양성 신생물
[D34] Benign neoplasm of thyroid gland - 갑상선의 양성 신생물
[D30] Benign neoplasm of urinary organs - 비뇨기관의 양성 신생물
[M99] Biomechanical lesion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생체역학적 병변
[F31] Bipolar affective disorder - 양극성 정동장애
[P21] Birth asphyxia - 출산질식
[P14] Birth injury to peripheral nervous system - 말초 신경계통의 출산손상
[P12] Birth injury to scalp - 두피의 출산손상
[P13] Birth injury to skeleton - 골격의 출산손상
[W53] Bitten by rat - 쥐에 물림
[W59] Bitten or crushed by other reptiles - 기타 파충류에 물림 또는 으깨짐
[W58] Bitten or struck by crocodile or alligator - 악어에 물림 또는 부딪힘
[W54] Bitten or struck by dog - 개에 물림 또는 부딪힘
[W55] Bitten or struck by other mammals - 기타 포유동물에 의한 물림 또는 부딪힘
[W57] Bitten or stung by nonvenomous insect and other nonvenomous arthropods
- 무독액성 곤충 및 기타 무독액성 절지동물에 물림 또는 쏘임
[U76] Bladder disease pattern - 방광병증(膀胱病證)
[N33] Bladder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방광장애
[B40] Blastomycosis - 분아균증
[J47] Bronchiectasis - 기관지확장증
[J40] Bronchitis, not specified as acute or chronic - 급성인지 만성인지 명시되지 않은 기관지염
[A23] Brucellosis - 브루셀라병
[L14] Bullous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수포성 장애
[T26] Burn and corrosion confined to eye and adnexa - 눈 및 부속기에 국한된 화상 및 부식
[T25] Burn and corrosion of ankle and foot - 발목 및 발의 화상 및 부식
[T20] Burn and corrosion of head and neck - 머리 및 목의 화상 및 부식
[T24] Burn and corrosion of hip and lower limb, except ankle and foot
- 발목 및 발을 제외한 엉덩이 및 다리의 화상 및 부식
[T28] Burn and corrosion of other internal organs - 기타 내부기관의 화상 및 부식
[T27] Burn and corrosion of respiratory tract - 기도의 화상 및 부식
[T22] Burn and corrosion of shoulder and upper limb, except wrist and hand
- 손목 및 손을 제외한 어깨와 팔의 화상 및 부식
[T21] Burn and corrosion of trunk - 몸통의 화상 및 부식
[T23] Burn and corrosion of wrist and hand - 손목 및 손의 화상 및 부식
[T30] Burn and corrosion, body region unspecified - 상세불명 신체부위의 화상 및 부식
[T29] Burns and corrosions of multiple body regions -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하는 화상 및 부식
[T31] Burns classified according to extent of body surface involved
- 포함된 신체표면의 정도에 따라 분류된 화상
[V76] Bus occupant in collision with other nonmotor vehicle
- 기타 무동력차량과 충돌로 다친 버스 탑승자
[V73] Bus occupant injured in collision with car, pick-up truck or van
- 승용차, 픽업트럭 또는 밴과 충돌로 다친 버스 탑승자
[V77] Bus occupant injured in collision with fixed or stationary object
- 고정 또는 정지된 물체와의 충돌로 다친 버스 탑승자
[V74] Bus occupant injured in collision with heavy transport vehicle or bus
- 대형화물차 또는 버스와 충돌로 다친 버스 탑승자
[V71] Bus occupant injured in collision with pedal cycle
- 자전거와 충돌로 다친 버스 탑승자
[V72] Bus occupant injured in collision with pedal cycle
- 이륜 또는 삼륜자동차와 충돌로 다친 버스 탑승자
[V70] Bus occupant injured in collision with pedestrian or animal
- 보행자 또는 동물과의 충돌로 다친 버스 탑승자
[V75] Bus occupant injured in collision with railway train or railway vehicle
- 열차 또는 철도차량과의 충돌로 다친 버스 탑승자
[V78] Bus occupant injured in noncollision transport accident
- 비충돌 운수사고에서 다친 버스 탑승자
[V79] Bus occupant injured in other and unspecified transport accident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운수사고에서 다친 버스 탑승자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